공학/재료공학 8

Review of materials and processing 02

관성마찰용접 / 운동E / 전극사용X마찰용접 / 운동E / 전극사용X초음파용접 / 전기E, 기계적E / 전극사용X산소용접 / 화염E / 전극사용X산소가스절단 / 열E / 전극사용X압력가스용접 / 화학E / 전극사용X테르밋용접 / 화학E / 전극사용X전자빔용접 / 운동E, 열E, 전기E / 전극사용X레이저빔용접 / 레이저E / 전극사용X폭발용접 / 화학E / 전극사용X확산접합 / 열E / 전극사용X 아크용접 / 전기E / 소모성혹은 비소모성 전극 사용가스텅스텐아크용접 / 전기E / 비소모성 전극 사용플라즈마아크용접 / 전기E / 비소모성 전극 사용플라즈마 아크 절단 / 전기E, 열E / 비소모성 전극 사용원자수소용접 / 화학적E / 비소모성 전극 사용저항용접 / 전기E / 비소모성 전극 사용저항스폿용접 /..

공학/재료공학 2024.12.17

Review of materials and processing 01

연삭액 중요한 이유  - 공작물의 온도 상승이 줄어들기 때문에  - 부품의 표면 마무리와 치수 정확도가 향상되기 때문에  - 숫돌의 마모와 로딩이 줄어들어 작업효율이 향상되기 때문에  - 칩의 배출 통로 역할을 하기 때문에  - 제어가 쉬워지기 때문에 연삭 공정 마무리 작업  1. 피복연삭재 : 유연한 소재에 연삭입자를 접착시킨 것  2. 호닝 : 가공된 구멍의 표면 상태를 더 좋게 하는 것  3. 화학 기계적 연마 ( 반도체 산업 ) 버공작물의 모서리를 따라 생기는 삼각형 모양의 얇은 리지,부품의 고장 초래, 피로수명이 단축됨 디버링 작업1. 숏 블라스팅 , 공기제트나 회전하는 휠에 의해 연삭입자를 버에 분사시키는 것2. 연삭재 유동 가공 , 유체에 연삭입자를 넣어 유체가 흐르면서 버를 깎아내는 방식 ..

공학/재료공학 2024.12.16

[재료공학] 표면 처리, 코팅 및 클리닝 ( week13 )

Inturoduction표면 처리 기술의 필요성부품을 제조한 후 표면 중 일부 또는 표면의 전체가 특정한 속성을 갖도록 후처리하여 성능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경우 필수적으로 사용표면 처리 기술의 적용 예- 기계공구 슬라이드 웨이, 샤프트, 롤, 캠, 기어와 같은 기계 부품에서 마멸, 부식, 압흔( indentation )의 저항 증가- 기계공구, 다이, 베어링과 머신 웨이의 슬라이딩 표면의 마찰 감소- 전기 접점에 대한 접착성 감소- 자동차용 시트 금속, 가스 터빈 부품, 식품 포장, 의료기기 등의 부식 및 산화에 대한 저항성 개선- 베어링 또는 샤프트의 피로 저항 향상- 기계 부품의 표면 재구축, 표면 질감, 모양, 치수 정밀도, 마찰 특성 수정- 같은 질감이나 색상 등의 장식적인 기능 부여 >>기계 부..

공학/재료공학 2024.12.01

[재료공학] 경납/연납 & 접착법/기계적 이음 ( week12 )

Introduction- 용융용접에서 사용되고 있는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필요로 하는 경납접( brazing )과 연납접( soldering )- 용가재는 외부열에 의하여 용융되고, 응고되면서 강성을 갖는 접합부가 형성이 된다.- 연납접에서의 온도는 경납접에서의 온도에 비해 낮으므로 연납접으로 접합된 접합부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다.경납접( 액상고상접합 )  - 경계면에 용가재를 넣은 후 모재는 녹지 않고 용가재만 녹일 정도의 온도로 올려주어 접합하는 공정  - 경납접은 액상고상접합공정으로 용가재가 냉각되면서 응고할 때 접합부의 강도가 높아진다.  - 용가재는 450도 이상에서 녹으며 용접물의 녹는점은 이보다 높아야 한다.경납접의 장점: 복잡하지만 가벼운 제품을 빠르면서도 적은 변형으로 높은 강도를 유..

공학/재료공학 2024.11.30

[재료공학] 용접 ( 용융, 고상접합 ) ( week11 )

용융용접( Fusion selding )이란?  - 접합하고자 하는 두 물체 사이에서 부분용융 혹은 완전용융 상태를 갖게 될때 여기서 용융용접( fusion welding )은 열원에 의해서 재료가 용융되어 병합되는 용접법  - 용접 시 용접공정 중에 용접부로 가해지는 용가재가 사용되는데, 용가재가 없이 사용되는 용접법을 자가용접( autogenous welds )이라 부른다. - 산소용접 ( OFW : oxyfuel gas welding ) ( 화염E 사용 )- 접합부에서 금속을 용융시키는 데 필요한 화염을 생성시키는데 산소와 연료가스( fuel gas )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접합공정이다.- 산소용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가스는 아세틸렌( acetylene )으로 이를 산소 아세틸렌용접( OAW: o..

공학/재료공학 2024.11.16

[재료공학] 특수가공방법 ( week10 )

특수가공이란?- 재료의 강도와 경도가 높을 경우 사용한다. - 보통 400HB 이상 ( HB는 브리넬 경도로서, 경도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. )- 재료의 취성( brittle )이 높아서 손상 없이 절삭가공이 어려울 경우 사용한다.  - 열처리합금, 유리, 세라믹 분말야금 부품을 제작한다.- 공작물이 너무 유연하거나 얇고 길어서 절삭력이나 연삭력이 가해지면 변형하거나 고정구로 고정이  어려울 경우 사용한다.- 부품의 내/외부에 자유형상 가공이 필요하거나, 경도가 높은 재료에 깊이 대 직경비가 큰 구멍을 가공하는 등의 복잡한 형상을 가공할 경우 사용한다.-일반적인 가공으로는 어려운 표면 마무리나 정밀 치수공차가 필요한 경우 사용한다.- 가공 중 재료의 온도 상승이나 잔류응력이 허용치를 초과할 경우 ..

공학/재료공학 2024.11.14

[재료공학] 절삭가공방법 ( 밀링가공, 연삭가공 ) ( week9 )

절삭은 재료 가공 공정 중 하나로, 공작물의 일부를 절단하여 원하는 형태로 만드는 과정밀링 가공이란?공작물은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공구가 회전하면서 가공하는 것, 회전공구가 가공재료의 지정된 경로를 지나며 재료를 제거하는 공정상향절삭이란? - 날의 진행방향과 공작물의 이송방향이 반대인 경우- 공작물의 표면특성이 절삭날에 특별한 영향을 주지 않음- 공작물 표면에 부착된 산화물 측이나 불순물 층이 공구수명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- 충분히 에리한 절삭날이 사용되어야함하향절삭이란? - 날의 진행방향과 공작물의 이송방향이 동일한 경우- 공작물을 고정시키는 방향으로 절삭력의 하향성분이 작용- 절삭날이 공작물을 물릴 때 충격이 크므로 공작기계의 강성이 커야함- 작업대 이송장치의 백래시( Backlash )가 제거되어야..

공학/재료공학 2024.10.3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