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학 45

Deep learning & Deep Neural Network, DNN

1. 딥러닝과 심층신경망 개요  1. 심층 신경망( Deep Neural Network, DNN ) : 많은 수의 은닉층이 적층된 신경망 모델  2. 심층 신경망 ⊂ 인공 신경망  3. 딥러닝( Deep learning ): 심층신경망을 학습하기 위해 다양한 알고리즘을 적용해 학습하는 기법( 알고리즘, 컨볼루션 레이어 등 )  4. 딥러닝은 AlphaGo, ChaGPT, 영상, 음성 등의 패턴 인식과 분석 등에 활용  5. 기울기 소멸( Vanishing Gradient ) 문제 직면2. 네오코그니트론( Neocognitron )  1. 1970년대 Cognitron 발표, 1980년대 Neocognitron 발표  2. 손글씨 숫자, 문자 인식 연구, 일그러짐이나 크기, 각도 변화에도 인식 강인하다. ..

공학/인공지능 2024.11.25

[유체역학] 개념정리

플럭스( flux )- 플럭스( flux ): 단위 면적을 통과하는 유체의 특정 물리량의 흐름 속도를 의미한다.- 플럭스는 벡터량으로, 크기와 방향을 모두 가지고 있다.- 플럭스의 방향은 유체가 흐르는 방향과 같다.비압축성 질량보존식- 비압축성 질량보존식은 유체역학에서 비압축성 유체의 흐름에서 질량이 보존됨을 나타내는 방정식이다.- 비압축성 유체는 밀도가 일정한 유체를 말하는데, 액체는 일반저긍로 비압축성 유체로 간주된다.나비에-스토크스 방정식( Navier-Stokes equation, N-S equation )- 나비에-스토크스 방정식은 유체의 운동을 설명하는 방정식이다. 끈적끈적한 성질, 즉 점성을 가진 유체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데 사용하는 비선형 편미분방정식이다.( 비점성물질에는 적용x )- 고체..

공학/유체역학 2024.11.19

[재료공학] 용접 ( 용융, 고상접합 ) ( week11 )

용융용접( Fusion selding )이란?  - 접합하고자 하는 두 물체 사이에서 부분용융 혹은 완전용융 상태를 갖게 될때 여기서 용융용접( fusion welding )은 열원에 의해서 재료가 용융되어 병합되는 용접법  - 용접 시 용접공정 중에 용접부로 가해지는 용가재가 사용되는데, 용가재가 없이 사용되는 용접법을 자가용접( autogenous welds )이라 부른다. - 산소용접 ( OFW : oxyfuel gas welding ) ( 화염E 사용 )- 접합부에서 금속을 용융시키는 데 필요한 화염을 생성시키는데 산소와 연료가스( fuel gas )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접합공정이다.- 산소용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가스는 아세틸렌( acetylene )으로 이를 산소 아세틸렌용접( OAW: o..

공학/재료공학 2024.11.16

[재료공학] 특수가공방법 ( week10 )

특수가공이란?- 재료의 강도와 경도가 높을 경우 사용한다. - 보통 400HB 이상 ( HB는 브리넬 경도로서, 경도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. )- 재료의 취성( brittle )이 높아서 손상 없이 절삭가공이 어려울 경우 사용한다.  - 열처리합금, 유리, 세라믹 분말야금 부품을 제작한다.- 공작물이 너무 유연하거나 얇고 길어서 절삭력이나 연삭력이 가해지면 변형하거나 고정구로 고정이  어려울 경우 사용한다.- 부품의 내/외부에 자유형상 가공이 필요하거나, 경도가 높은 재료에 깊이 대 직경비가 큰 구멍을 가공하는 등의 복잡한 형상을 가공할 경우 사용한다.-일반적인 가공으로는 어려운 표면 마무리나 정밀 치수공차가 필요한 경우 사용한다.- 가공 중 재료의 온도 상승이나 잔류응력이 허용치를 초과할 경우 ..

공학/재료공학 2024.11.14

Machine learnign & Artificial Neural Networks, ANN

인공 신경망( Artificial Neural Networks )이란 무엇인가?  1. 인공 신경망 : 동물의 생물학적 신경( 뉴런 )을 모방한 모델  2. 뉴런의 작동 방식    1. 각 뉴런이 다른 뉴런과 연결되어 하나의 회로를 만듦    2. 외부로부터 자극( 입력 )을 특정 회로에 통과시켜 반응생성    3. 아래와 같이 인공 신경망 도식화 가능    4. 인공 신경망의 각 부분별 용도      - 노드 :  입력된 신호를 합치고,  활성화 함수를 이용해 비선형화       - 연결선 : 데이터를 연결된 강도에 따라 다음노드에 전달  노드라는 것은 입력 신호를 받아서 가중치를 곱하고 더한 후, 활성화 함수를 통해 최종 출력을 생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. 이렇게 함으로써 신경망은 더 복잡한 문제를 해..

공학/인공지능 2024.11.13

[재료공학] 절삭가공방법 ( 밀링가공, 연삭가공 ) ( week9 )

절삭은 재료 가공 공정 중 하나로, 공작물의 일부를 절단하여 원하는 형태로 만드는 과정밀링 가공이란?공작물은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공구가 회전하면서 가공하는 것, 회전공구가 가공재료의 지정된 경로를 지나며 재료를 제거하는 공정상향절삭이란? - 날의 진행방향과 공작물의 이송방향이 반대인 경우- 공작물의 표면특성이 절삭날에 특별한 영향을 주지 않음- 공작물 표면에 부착된 산화물 측이나 불순물 층이 공구수명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- 충분히 에리한 절삭날이 사용되어야함하향절삭이란? - 날의 진행방향과 공작물의 이송방향이 동일한 경우- 공작물을 고정시키는 방향으로 절삭력의 하향성분이 작용- 절삭날이 공작물을 물릴 때 충격이 크므로 공작기계의 강성이 커야함- 작업대 이송장치의 백래시( Backlash )가 제거되어야..

공학/재료공학 2024.10.31

[유체역학] 검사체적 및 레이놀즈 수송정리

- 검사체적과 시스템의 개념  - System : 고정된 경계면 내의 물질의 집합체 ( 원자나 유체입자 ), 물리적 법칙을 따름   - Control Volume : 해석의 편의를 위해 선택한 공간상의 일정한 체적 유체는 이 체적을 통해 흐를 수 있으나 검사체적 기    체는 물리적 법칙을 따르지 않는다. ( 자유물체도와 같은 개념 ) - 검사체적과 검사표면 ( control surface ) 검사체적 : 해석의 편의를 위해서 선정한 임의의 공간(a) 고정된 검사체적  - pipe 유동(b) 움직이는 검사체적  - jet engine  - 검사체적은 속도를 가지고 움직임  - 지상의 관찰자에게는 움직이는 검사체적(c) 변형하는 검사체적  - 풍선 내부의 기체가 분출함에 따라 검사체적은 변형함. ( 줄어듦..

공학 2024.10.05

[자율로봇]

모터선정 간이법우레탄폼 땅이므로 고무랑 플라스틱과의 마찰계수를 구할것질량, 중력가속도, 바퀴지름, 마찰계수, 가속시간속도가 빠르면 힘이 떨어진다. 1. RPM 계산2. 모터 검색 및 스펙표 체크3. 가장 유사한 RPM 찾기4. 정격토크가 충분한지 확인5. 해당 감속비율 선정/구매 결정거리센서 이해하기거리센서는 거리감지센서( 아날로그값으로 나타남 )이지 물체감지센서( 0과 1로 나타남 )는 아니다.한번 쏘는 초음파의 간격을 제어하는 코드는 'purseIn'으로 조절한다. ( 기본: 1초 쉼 )  ex) purseIn( echo, HIGH , 23529 )delay는 안쓰는게 좋음로봇의 탐색 기법초음파센서는 서로 상쇄가 되므로 서로가 탐지하지 못한다.제자리 회전을 통한 탐지 방법은 비추천센서는 2개이상 사용..

공학 2024.09.27

용어 정리 ( 케비테이션, 점착조건, 절대압력, 계기압력 등등 )

캐비테이션( cavitation ) 유체의 속도가 빨라질때 액체의 압력이 증기압보다 낮아져 작은 물방울(기포)가 생기는 것을 말한다. 점착조건기체와 액체를 포함한 모든 유체는 고체의 표면에서 붙는다, 즉 유체속도가 0이다. 모든 유체는 점성이 있고, 점성이 있으면 고체의 표면에서 속도가 0이다.계기압력 ( gauge )절대압력 ( absolute )계기압력 + 대기압, Pa = Pg + Patm 정수압분포정지된 비압축성 유체( 밀도가 일정한 유체 )내의 압력은 깊이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한다.  정압정압은 유체가 관 내부를 흐르고 있을 대 유체의 흐름 방향과 직각으로 작용하는 압력유체역학에서 일반적으로 말하는 압력을 의미 동압동압은 정압과는 달리 운동하고 있는 유체 중에만 존재하는 압력무언가의 운동으로 발..

공학/유체역학 2024.09.2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