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*Autonomous driving tech. 153

[C++] 06_char형 배열과 string 배열의 차이점

#include using namespace std;int main() {    //c++에서 문자열을 다루는 방법 중 하나인 string    /*    배열을 다른 배열에 통째로 대입할 수 없다.    >>> string에서는 가능    */   char char1[20];   char char2[20] = "jauar";   string str1;   string str2 = "panda"; // char1 = char2; // 안됨   str1 = str2; // 됨  cout str1 endl; >>> panda // 결과값  return 0;} char형 배열은 다른 배열에다가 값을 그대로 넣을 수 없지만,  string형 배열은 가능하다. char형과 string 배열의 차이점은 배열사이..

[C++] 05_산술연산자와 auto

#include using namespace std;int main() {    // + - * / %    /*    + : 두 개의 피연산자의 합을 계산합니다.    - : 첫 번째 피연산자에서 두 번째 피연산자의 차를 계산합니다.    * : 두 개의 피연산자의 곱을 계산합니다.    / : 첫 번째 피연산자에서 두 번째 피연산자를 나눕니다.    >> 두 개의 피연산자가 모두 정수이면 결과값은 '몫'입니다.    % : 첫 번째 피연산자를 두 번째 피연산자로 나누어 나머지를 구합니다.    예를 들어서 19를 6으로 나누게 되면 그 값은 1입니다.    부동 소수점(실수) 사용할 수 없습니다.    */    int a = 10;    int b = 3;    int c = 5;    int d ..

[C++] 04_const 제한자와 데이터형 변환

const (상수) 제한자상수는 선언시 > const 자료형 상수이름 = 값 순으로 나타낸다.바뀔필요가 없거나 바뀌어서는 안되는 수를 사용한다.#include using namespace std;int main() {  //원의 넓이를 구하는 프로그램  // 반지름 * 반지름 * 파이  const float PIE = 3.1415926535;  int r = 3;  float s = r * r * PIE;  //1. 바뀔 필요가 없는 수  //2. 바뀌어서는 안되는 수  //상수  cout s endl;  return 0;} 강제 데이터형 변환#include using namespace std;int main() {    //데이터형 변환    /*    1. 특정 데이터형의 변수에 다른 데이터형의 ..

[C++] 03_문자형 자료형과 bool형 자료형

1. 작은 따옴표 사용  - 작은 따옴표로 한 글자씩 입력2. 큰 따옴표 사용  - 큰 따옴표로 한꺼번에 입력  - 배열 크기 = [ 문자개수 +1개 (NULL 문자 위치) ] 를 입력하게됨 ( 큰 따옴표로 묶게 된다면 '/0' (널값) 을 포함한다. ) char을 나타내는 방법방법2와 같이 하게 되면 문자열 끝에 NULL 문자가 자동으로 들어간다.C++ 규칙에 따라 문자열 마지막에는 NULL문자( =  '\0'  )가 있어야 된다는 것을 기억하자. // char prac[3] = {'L','E','E'}  // 오류 발생, 이유: NULL문자를 넣을 공간이 없으므로// char prac[4] = {'L','E','E}   // 정상 코드 그렇다면 아래는 어떨까?LEE 문자 이후에도 이상한 문자가 붙었다..

[C++] 02_배열

배열( Array )배열이란 데이터형이 같은 여러개의 값을 연속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이다.배열은 선언 명령문을 사용하여 생성한다. 배열 선언 명령문에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를 선언한다. 1. 각 원소에 저장될 값의 데이터형2. 배열의 이름3. 배열 원소의 개수배열 초기화 예시초기화란? 변수에서도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데, 선언과 대입을 함께하는 것을 말함#includeusing namespace std;int main(){ int prac_array[10] = {1, 2, 3}; //'prac_aray' 라는 이름으로 크기 10인 배열 형성 cout  배열의 일반적인 형식typeName arrayName[arraySize]; 배열 관련 내용1. 배열 원소에 대입한 값들을 콤마로 구..

[C++] 01_변수 선언과 규칙

변수와 상수란?변수: 변할 수 있는 수상수: 변할 수 없는 수 변수에서 신경써야 할 3가지 요소1. 변수의 자료형2. 변수의 이름  1) 숫자로 시작할 수 없음  2) C++에서 사용하고 있는 키워드는 사용할 수 없음  3) white space( =엔터,탭,빈공간을 의미 )를 사용할 수 없음3. 변수가 어디에 저장되는가 ( 컴파일러가 알아서 지정해줌 )? #includeusing namespace std;int main() { int a; //선언 a = 7; //대입 int b = 3; //초기화 a = 5; //다시 대입 b = 10; //다시 대입 //변수는 사용되기 이전에 정의되어야 함 cout  위 내용은 '인프런..

라이다( LiDAR ) 센서의 종류 및 기술 발전 동향

최근 라이다 ( LiDAR ) 센서 기술은 자율주행차, 드론,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급속히 발전하고 있으며,이 기술은 3D 공간 인식을 가능하게 하여 여러 산업에서 혁신을 이끌고 있다. 최근 라이다 센서 기술 발전 동향- 시장 성장 : 라이다 시장은 2021년 15억 달러에서 2030년까지 48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, 연평균 성장률( CAGR ) 은 13.8%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.- 기술 혁신 : 최근 라이다 기술은 AI와 통합을 통해 더욱 정교해지고 있으며,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.- 다양한 응용 : 자율주행차, 드론, 스마트 시티 등에서 라이다 센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, 이는 안정성과 효율성을 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. 'LG이노텍과 현대모비스의 라이다( LiDAR )..

26. AI 기반 측위 기술

1. 자율주행을 위한 측위 기술- 고정밀 지도의 정보를 자율주행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자율주행차량의 위치를 알아내는 측위기술 필요- 자율주행을 위한 측위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환경 인지 센서에 대한 활용이 고려되고 있음- AI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Odometry 기술, 맵매칭 기술의 정확도와 신뢰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 2. 측위를 위한 AI 기술2.1 AI 기반의 카메라, 라이다, 통합 Odometry 기술- 카메라 Visual Odometry 기술: 카메라의 움직임에 의한 영상 프레임 사이의 변화를 분석하여 차량의 이동 위치를 추정하는 기술- 라이다 Odometry 기술 : 라이다 포인트 데이터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Odometry 수행- 통합 Odometry 기술: 관성항법장치와 카메라 또는 라이다 센..

25. MMS 기반 고정밀 지도 구축 기술

1. MMS의 개념- Mobile Mapping Systme( 이동식 도면화 시스템 )의 약자- 주행 중인 챠량에 장착된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세밀한 지형 정보를 획득하여 지도 구축 2. MMS 차량의 구성- DGPS(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)- IMU ( Intertial Measurement Unit )- 라이다- DMI( Distance Measuring Instument )- INS( Inertial Navigation Systme ) 관성항법장치 3. MMS 기반 고정밀 지도 구축 과정- 작업 계획 수립- MMS 시스템 구축- 기준점 선점 및 측량- MMS 표준자료 제작-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후처리 및 보정- 객체 추출 후 품질 검사, 벡터 ..

24. 고정밀 지도 및 측위 기술

1. 고정밀 지도의 필요성- 센서의 제한된 인식 범위 보완 : 수 Km 이상의 도로 정보 취득- 환경 영향에 따른 센서 기능 보완- 센서 객체 인식 성능 향상 : 센서가 감지해야 하는 영역을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축소 2. 기존 측위 기술 소개-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 추정- RTK 기술 : 정밀한 위치를 확보한 기준점의 반송파 오차 보정치를 적용하여 수 cm의 정밀도를 표현하는 고정밀 이동측량 기법- 관성항법 장치 : IMU 등 관성 센서 정보를 활용하는 장치 3. 고정밀 지도 기반 측위 기술- SLAM 기술 : 로봇이 스스로 측위를 하는 동시에 지도를 생성하는 기술- 자율주행에서는 MMS 기술을 이용하여 고정밀 지도를 미리 생성- '맵매칭' 방식의 측위 기술 : 인지 기술을 통해 얻은 주변..